카테고리 없음

[자소서 작성 가이드] 기적의 자소서 정리 1

엘라스틱서치 2018. 1. 1. 20:07

[기적의 자소서 정리]

맹목적인 스펙 쌓기는 구직활동의 키맨인 채용 담당자와 면접관 이 중시하는 것들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

 

채용 담당자와 면접관의 시작에서 모든 것을 준비해야 한다,

1, 자신이 지원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나 지식

2. 과거 조직 내에서 융화했던 경험

3. 지원한 회사에서 성과를 내기 위한 방법

 

 

지원한 회사의 응시분야에서 최선의 성과를 내서 조직에 기여하는 모습을 끊임없이 그려보고,가능하다면 그 회사의 현직자를 직접 만나 현업에서의 이슈들을 들고 고민하면서 자신이 어떤 기회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고객의 입장에서 그가 내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고,그에 맞는 준비를 해야한다.

 

차별화란?!

상대가 원할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과감하게 그 방향에 맞추어 준비하고 노력하는 자세

 

전문성

자신의 지식과 관심도 등을 드러낼 수 있다. 자격증,전공 분야,이수 과목,학점,인턴 경험,공모전 경험 소위 스펙들

 

가능성

구직자가 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가 혹은 조직 구성원으로서의 기본 자질을 구비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요소이다.

 

 

* 입사담당자가 중점을 두고 보는 것은 입사후의 모습임

1, 조직에 잘 적응 할지

2. 의견이 대립되는 경우에도 융화해 나갈수 있는 기본적인 소양과 자질을 갖췄는지.

3. 성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충분히 보유 하고 있는 원석을 원한다.

즉 조직에 융화하여 회사를 조기 이직하지 않을 정착성이 뛰어난 사람을 원한다.

 

 

회사 입장에서 신입사원의 전문성은 사실 큰 의미가 없다. 어차피 해당 분야의 역량은 입사 이후 교육과 훈련,업무경험을 통해 쌓아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회사입장에서는 신입사원이란 미래의 성과를 위한 투자이다. 따라서 경력사원의 채용에만 경럭 과 전문성이 평가 요소가 된다,.~!~!~! 스펙 좋아도 기업 나갈 것 같으면 안 뽑는다.

개선사항들을 자신만의 색깔로 수정해 나갔다는 것이다.

 

[중요도 높은 것]

어학점수

스토리텔링

비전수립

자소서작성

면접스킬

현직자 직무파악

 

짧은 자소서 일수록 단어 하나 문장 하나를 쓰더라도 반드시 필요한 내용,핵심이 되는 문장만을 기술해야 한다.